top of page

연구개발

사이클로덱스트린이란?

사이클로덱스트린은 6~8개의 글루코스가 고리 모양으로 연결된 고리 구조 분자입니다. 링 구조의 공동은 소수성을 나타내는 반면 표면은 친수성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고리 구조를 통해 공동 내부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소수성 분자를 수용하고 용해시킬 수 있습니다.

시클로덱스트린_4.png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세포내 과도하게 축적된 콜레스테롤을 용해시키고, 그것의 운송, 저장, 배출을 촉진시킴으로써 세포의 콜레스테롤 항상성을 유지하며 콜레스테롤 유발 독성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제입니다.

CD.png

임상시험 단계의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세종류가 있습니다 : 알파-, 베타-,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이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6개, 7개, 8개의 글루코스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6개의 글루코스로 이루어진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가장 작은 링구조를 형성하므로 콜레스테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수용화할 수 없습니다. 베타- 및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은 콜레스테롤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제로써 작용합니다. 현재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유도체인 히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HPβCD)은 임상시험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제입니다. 이 유도체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에 비하여 수용성이 높고 세포독성을 덜 일으키는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현재 히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니만피크 C형, 알츠하이머병에, 만성신장질환에, 동맥경화증에 대하여 임상시험 중입니다. 

hpbcd_3_edited_edited.png

부작용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제는 콜레스테롤 항상성 조절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제인 HPβCD 는 내이독성을 일으킬 위험이 있습니다. HPβCD의 투여 후 몇 시간 이내에 달팽이관의 외유모세포(Outer hair cell)가 우선적으로 손실되는 것이 밝혀졌으며, 외유모세포 손실로 인한 내이독성은 영구적인 청력 손실을 유발하게 됩니다.

hearing aid_2_edited.png

​차세대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제의 필요성

Logo 2.png

레나투스는 차세대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제 개발을 통해 콜레스테롤 유발 질병을 가진 환자들에게 안전한 치료제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레나투스는 독자적인 기술을 통해 안전성과 효과가 뛰어난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습니다.

bottom of page